
해당 포스팅은 "쿠버네티스 완벽 가이드" 책을 많이 참고해서 작성되었습니다. Kubernetes의 스케줄링에는 필터링 과정과 스코어링 과정이 있습니다. * 필터링(단정)에서는 스케줄링하는 파드가 할당 가능한 노드를 계산합니다. 예를들어 파드를 스케줄링하는 데 충분한 리소스가 있는지 또는 필수 조건으로 지정한 레이블을 가진 노드인지 등을 체크합니다. * 스코어링(우선순위)에는는 필터링된 후 노드 목록에 순위를 매겨 가장 적합한 노드를 계산합니다. 우선순위 조건으로 지정한 레이블을 가진 노드를 우선적으로 처리합니다. 따라서, 필터링이나 스코어링을 지정하지 않아도 Kubernetes가 자동으로 계산되어 스케줄링에 사용되는게 가장 큰 장점입니다. Kubernetes 스케줄링 분류는 다음과 같습니다. Kubern..

□ 고가용성 서버와 네트워크, 프로그램 등이 오랜 기간 동안 지속적으로 정상 운영 가능한 성질을 말합니다. 고가용성은 흔히 가용한 시간을 99%, 99.9% 등과 같은 비율 값으로 표현합니다. 즉, 가용성을 극대화 시키는 구성을 말하는 것으로 클러스터링, 이중화, RAID는 HA를 이루기 위한 방식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고가용성을 달성하기 위한 수많은 설계 방법이 있지만, 대표적인 몇 가지 예시로는 다음과 같습니다. 1) 네트워크 연결의 이중화 구성 2) LAG 3) 로드밸런서 4) RAID 방식의 스토리지 보통 AWS에서 아래처럼 이중화를 위해 물리적으로 떨어져있는 영역인, Availibility Zone 줄여서 AZ라고 불리는 개념이 존재합니다. AZ를 통해 일반적으로 같은 데이터 센터에 서버만 여..

인스턴스를 운영하다보면 디스크 사이즈가 부족해 볼륨을 늘려야 하는 상황이 생깁니다. 해당 내용은 AWS EC2 디스크 용량을 늘리는 방법입니다. 크게 EBS 볼륨 증설, 파일 시스템 확장 작업을 진행해야 합니다. □ EC2 대쉬보드 -> EBS -> 볼륨 ▶ 먼저 AWS 콘솔에 접속해 EBS 볼륨 수정을 진행합니다. ▶ 볼륨수정에서 자신이 원하는 스토리지를 증설해 줍니다. ▶ 위의 작업을 완료하면 아래처럼 상태가 in-use-optimizing 상태로 확장중인 상태가 표시됩니다. (아래 세부사항에 친절하게 %도 다 알려주며 조금 시간이 지나면 완료상태로 바뀝니다.) □서버 볼륨의 시스템 확인 및 블럭 장치 목록 확인 ▶ 기존에는 아래처럼 기본 50GB 디스크 용량을 가지고 있는걸 확인할 수 있습니다. [..